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datastructure
- SpringBoot Initializr
- programmers
- Fluent-bit
- Kotlin
- redis
- 연산자
- JPA
- Algorithm
- Sprint Security
- IAC
- C++
- ansible
- For
- JavaScript
- jvm
- 기초
- If
- datatype
- While
- lambda
- 자료형
- zgc
- MergeSort
- Java
- g1gc
- Class
- quicksort
- UserDetails
- Spring Security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tree (1)
뭐라도 끄적이는 BLOG
06. 트리(Tree)
트리(Tree)는 계층구조(Hierarchical Structure)로 자료를 저장한다. 여기서 계층 구조란 트리를 구성하는 노드가 부모-자식(Parent-Child)관계라는 의미이다. 즉, 특정 부모 노드 하나에 여러 개의 자식 노드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말한다. 이러한 계층구조의 대표적인 예로 컴퓨터의 폴더 구조를 들 수 있다. 트리는 하나의 부모 노드에 여러 개의 자식 노드가 연결되어 있다. 그래서 트리를 구성하는 부모-자식 노드의 관계가 일대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선형 자료구조이다. 반대로 각 노드의 부모 노드는 모두 1개라는 점은 주의하기 바란다. 트리의 개념 트리(Tree)는 노드(Node)와 간선(Edge)의 집합이다. 보통 노드는 일반적으로 모델링하려는 시스템의 객체(Object)를 나타낸다..
기본이론/Datastructure
2023. 6. 17. 09: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