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If
- UserDetails
- quicksort
- JavaScript
- Fluent-bit
- lambda
- SpringBoot Initializr
- For
- JPA
- Kotlin
- redis
- Java
- datastructure
- Algorithm
- IAC
- MergeSort
- g1gc
- programmers
- 연산자
- Class
- Sprint Security
- 기초
- zgc
- While
- datatype
- jvm
- ansible
- C++
- Spring Security
- 자료형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array (1)
뭐라도 끄적이는 BLOG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foqA/btrF9h2rUno/bvS19yYraFlK508j4KuaGk/img.png)
배열(Array)은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를 메모리상에서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형을 말한다. 이러한 연속된 각각의 값을 배열의 원소(Element)라고 한다. 위 그림은 int 자료형 원소가 4개 연속해 이어져 있는 1차원 배열을 나타내고 있다. int 자료형이기 때문에 자료 1개당 크기는 4바이트이다. 이제 이러한 배열의 이름을 key라고 하였을 때 C소스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. int key[4]; 위 C소스는 key라는 이름을 가지며 4개의 int자료형 원소를 가지는 배열을 정의하는 소스이다. 배열의 위치 인덱스는 0부터 시작이 되며 차례대로 key[0], key[1], key[2], key[3]이 된다. 배열의 원소의 개수가 4개이면 마지막 인덱스는 3이 되어 마지막 원소가 key[3]이다. 위..
기본이론/Datastructure
2023. 6. 17. 08:45